top of page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전체화면 모드로 전환 가능하고, 상세 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It provides full-screen mode and details of work by clicking images.

 

나는 끓어오르는 피를 진정시키기 위해 얼마나 자주 자장가를 불러야 했는지 모른다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저, 안장혁 역,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문학동네, p.16

 

 

 

 

괴테는 스물 다섯 살이던 1774년,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으로 상처받은 여린 영혼을 지닌 지적이고 감성적인 젊은이를 창작해냈다. 소설 속 베르테르의 여러 품성은 내가 해당 회화 연작을 창작함에 있어 중요한 모티브이다. 인용한 대목에서 나는 본 연작을 아우르는 주제와 키워드를 착안했다. 베르테르는 그의 고조된 감정을 가라앉히기 위해 자장가가 필요하다고 했으나, 때론 청년의 감성은 자장가와도 같이 현실을 꿈으로 탈바꿈하고 자기 자신의 내부로 빠져들어가는 요란한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이 그 자신의 감정에 깊이 들어가 숙고할 수 있는 시간이야말로, 자기 자신의 감각과 감성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오롯이 집중하여 자신만의 내•외부 세계를 꿈꿀 소중한 자산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나의 최근 회화들이 재현하는 시간은 주로 밤이다. 시끄러운 낮과는 다른, 온전히 홀로 사색에 젖어들 수 있는 평온한 시간, 그러면서도 마치 거대한 사건의 서막을 알리는 검은 막의 무대 뒤 편. 나는 밤에 느낄 수 있는 특정 감정의 상태와 특유의 감성을, 소년 또는 청년들을 그림의 주인공으로 삼아 표현하고자 했다. 여러 사람들을 만나 웃고 떠드는, 명랑하고 즐거운 낮이 지나가고 밤이 오면 낮 시간에 살았던 사람과 동일인이란 게 이상할 정도로 낯선, 스스로의 감성에 푹 빠져든 시인만이 남는다. 우수에 젖어 불안하고, 알 수 없고(미지), 열정적이고 욕심 많고, 때로 모든 것에 초연한. 복잡하고 모순된 상태가 들이닥친다. 낮이었다면 낯간지럽고 멋쩍을, 유치하고 노골적인 감정도 밤의 옷을 입으면, 다소 차가운 밤공기에도 소년들의 연약한 맨 살을 감쌀 완벽한 가운(gown)이 되어줄 수 있다. 혼자만의 깊은 시간, 그리고 토닥토닥 어루만져주는 손길 같은 느린 곡조의 노랫소리. 그로 인해 찾아온, 선잠이 들었는지, 꿈속인지 모를 몽롱한 상태의 감각. 곁에 무엇이 있더라도 온전히 혼자서 빠져드는 자기 자신의 존재와 부재.

 

나는 인간의 여러 면면들 중, 자기 자신의 감성에 빠져들고,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든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를 인간만의, 그리고 가장 인간적인 면모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화면에 다소 우울하거나 감성적으로 빠져들어 현실과 주변에는 마음이 멀어져 무관심한 소년들과는 대조적으로 날카롭고 본능적인 상태로 관람자를 직시하는 부엉이와 고양이 등의 동물들을 표현했다. 어떤 대상을 바라보거나 관찰한다는 것은 그 대상에 관심이 있다는 의미이다. 내가 그린 인물들의 시선은 내리깔려 있거나, 초점이 흐려져 있거나 눈이 가려져 있다. 외부 또는 관람자를 향하고 있지 않다. 심지어 많은 경우, 그림 속의 어떤 것에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오직 그들을 감싸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그들에게 발생된 밤의 감정뿐이다.

 

 

그간의 작업을 아우르는 동기(motive) 와 앞으로의 창작 계획

 

인물의 ‘감정’을 거친 붓질과 물감의 물질성으로 시각화하는 것은 내게 지속적으로 중요한 표현 주제이다. 2014년과 2015년의 그림들은, 미리 계획 없이 화면을 대하고, 막연한 붓질을 시작하여 ‘얼굴’로 완성하는 과정을 거친 것이다. 그 때 나는 ‘어두운’ 감정이라 할 수 있는, 불안이나 답답함, 괴로움 등의 정서를 주제로 삼는 것에 매료되어 그것을 화면에서 얼굴 부분으로 한정하고, 그 인물의 표정을 통해 표현하였다. 이 그림들은 ‘소용돌이’라는 제목의 연작이다. 이러한 ‘불특정 인물화’ 작업과 함께 자주 나의 남동생이 그림의 모델로서 등장한다. 막연하게 내가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었던 ‘나의 감정’이 투영되어 그것을 빠른 붓질로 그렸다고 생각하는 인물화들과, ‘남동생’이라는 특정 존재와 그의 외형이 부각된 그림은 현재 내가 ‘남성’, 그리고 내 나이 또래 청년들을 표현하는 데에 내용과 방식에서 지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최근,  인물의 감정 표현과 그에 따른 순간적인 인상을 포착하는 것을 넘어 좀 더 서사적인 것도 그림에 담아내고 싶었고, 주로 얼굴로 한정해 그려왔던 회화의 소재들이 확장되어 인물과 그의 주변 풍경 등과 문학적인 요소 등 여러 배경적인 것들이 복합적으로 화면을 만들어내고 있다.

 

그림 속에 반영된 감정은 대체로 내가 경험하고 느껴본, 자전적인 것들이다. 화면 속 상황은 거의 모두 나의 상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어떤 특정 인물이나 사진, 상황을 보고 재현하는 방식이 아니라, 먼저 드로잉과 에스키스들을 통해 회화를 구상한 뒤 그것을 토대로 캔버스에 옮겨가는 방식으로 작업하고, 일부의 것들은 캔버스를 대하고 계획 없이 즉흥적으로 시작하여 완성해간다. 현재 내 그림들은 서사를 표현하기 위한 요소와 회화적인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다. 즉, 내러티브 적인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구상적으로 표현된 회화들도 있고, 상황이나 서사를 재현하기 보다는 (가장 늦은 밤에) 가장 고조된 인물의 감정 자체를 강조하기 위해 회화의 기본적인 표현 요소들인 물감과 붓질 등을 더욱 강하고 거칠게 다루어 추상과 구상의 요소가 모두 존재하는 그림도 있다 (심야(深夜), 2018). 계속해서 주로 회화라는 매체를 통해 다양한 회화적 표현들을 적절하게 구사하고 발전시켜가며 주제를 다각적으로 조명할 계획이다.

 

2018 

Uproarious lullaby (Very loud lullaby)

 

How often do I lull my agitated blood to rest?

(I no longer want to be led on, cheered up, spurred on, my heart surges enough by itself; I need a lullaby, and that I have found in abundance in my Homer. How often do I lull my agitated blood to rest; for you have never seen anything so changeable, so restless as my heart.)

 

- The Sorrows of Young Werther, Johann Wolfgang von Goethe

 

 

In 1774, at the age of 25, Goethe created an intelligent and sensitive young man with a wounded tender spirit through his book, The Sorrows of Young Werther. And Werthers’ personalities in the book have been important motives in the recent series of my painting. In particular, I  discovered the main subject and keywords from the above quotation. Werther said that he needs a lullaby to calm his excited feelings. This lullaby can turn a dream into reality and become an uproarious trigger to make one fall into oneself with a young man’s passion. When falling into his feelings and contemplating them, one can keenly respond to his senses and feelings by fully concentrating on them, which become assets to create one’s own inside and outside world.

 

The time that the paintings in this exhibition represent is usually the night. It is a time different from the noisy day, it is the peaceful time when one can soundly contemplate things but, at the same time, it’s the time when a curtain to an enormous incident seems to start opening. I attempt to express those specific senses and feelings that one has in the night through the young male characters in my paintings. One meets different people and spends time with them during the day and, in the night after this cheerful and fun daytime, one turns into a poet who falls into his emotions and seems so different from the daytime self.

 

Arriving is the complicated and contradictory state when one feels anxious by being overclouded with deep melancholy and cannot see what is coming. But fills oneself with passion and greed, and sometimes remains wishes to remain aloof from everything. The feelings that would be considered to be embarrassing, awkward, childish, and explicit during the daytime can work as a perfect gown to comfort the delicate bare skin of a young boy in the cold night air. There is a time that one can deeply have by oneself under a slow song that tenderly strokes one’s heart. And one goes into a dim state of feelings that creates confusion if we are aware or in a dream. Whatever there is next to us, we take our time by ourselves. Therefore, there are both being and absence at the same time.

 

I believe that desires to have one’s own feelings and express them in diverse ways ar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that make people different from other beings. From this reason, there are animals in my painting like an owl sharply and instinctively looking at viewers, unlike the indifferent young boys who fall into their feelings and keep their distance from reality. To look at or examine a thing means interest in it. People whom I paint often look down, do not focus, or have their eyes hidden. They do not look at what is in front of them or at their viewers. Furthermore, they sometimes do not pay attention to anything. What is surrounding them is only their feelings, occurring in the night from their various reasons. 

 

The feelings projected in the paintings are autobiographical - from my experiences. I have put importance on expressing human feelings with long flowing brush strokes and the materiality of the paint. Since the unspecific portraits of the Whirlpool series in 2014 and 2015, my younger brother has been a model in my paintings. The portraits that I paint with fast brush strokes by projecting my feelings from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the specific model - my brother - have continuously influenced the context and way of depicting a man, especially a young man in my peer group. Since last year, I have attempted to capture more narrative subjects in my paintings beyond the expression of my feelings and their momentary impression. And there are more than just aspects of a character as the subjects of my paintings now: objects, landscape, literary elements, etc. appear.

 

 

 

2018.July 

by Taehoo Jung

bottom of page